소주 동맹 상순이
인연이 맺혀지는 자리
황금횃대
2004. 4. 19. 22:30
어제 00시에 사는 언니에게서 소포가 왔다
얌전히 나뭇잎이 눌러진 편지 두 장과 <곽재구의 포구 기행>이란 책이 같이 왔다.
고추를 빻으러 가다가 대문 간 우체통에서 신문과 고지서와 소포를 꺼내서 오토바이 바구니에 싣고는 방앗간에 가서 고추를 빻아 주라고 던져 놓고는 소포부터 끌른다.
책이 나오고, 편지가 나온다.
아름다운 언니의 사연이 나온다. 훗~
쌀이 다 떨어져 아랫채 마루에 얹어 놓은 나락 네가마니 싣고는 방앳간에 찧으러 간다.
전화를 하면 정미소 아저씨가 차를 가지고 온다
시집 와 십수년 나락을 찧으러 가면서 그 아저씨의 차를 타고 다녔지만, 심중에 아무런 느낌이 오지 않는 아자씨의 인상에서 세상에는 남자가 있고, 그 남자를 딱 두패로 가르라면, 연애가 가능할까 아니면 동네 슈퍼 아저씨로 남을까..하는 기준이다 으흐흐흐흐
<곽재구의 포구 기행>을 챙겨서 들고 나간다.
나락 찧으러 가면서도 책 들고 나가면 혹자는 내가 억시기도 책 많이 보는 여편네인줄 알고 고개를 끄덕거릴지 모를 일이지만, 기실 책 디럽게 안 읽는다. 아이들한테는 책을 많이 읽어야 나중에 사기를 쳐도 용이하다고 뻥 때리고 살지만, 기실 나는 책을 별로 읽지 않는다.
나락을 내려 놓고 정미소의 기계 피댓줄은 스위치를 올리자 위~잉 돌아가기 시작한다. 차 안에서 쌀푸대만 발로 밀어 놓고는 책을 읽는다
책 속에 소제목 "별똥 떨어진 곳 마음에 두었네-동화와 지세포를 찾아서-"란 곳을 읽었다.
곽재구시인이 시에 마음을 두어 시가 자기에게로 걸어 온 시점에서 헌책방에서 찾아내 흔쾌히 사들였다는 <문학독본>이란 책과 같이 여행을 떠나면서 그 책의 내용과 이야기를 나누며 그 포구의 풍경과 상념을 적은 글이였는데 일테면 책 속의 저자의 글과 여행을 떠난 것이다.
곽재구 시인은 우리가 들어서 여러가지 알고 있겠지만, 나는 그이가 오월시 동인으로 활동할 때(지금도 하는지 모르겠지만) 참 열심히 동인시집이 나오면 사보고 했었다. 오월, 광주...이런 것들이 경상도 어설픈 가스나 한테 무슨 의미인지 지금은 아무 기억도 없다. 나는 기실 그 때 월 팔만오천원 월급을 받으며 자그마한 주물공장에 경리로 일하였으니.
노동이고뭐고 아무것도 몰랐다.
그저 치이는 만원버스에서 한 시간을 서서 출근해서 할아버지 사장님들의 커피를 타 주고 작은 매출전표를 기록하며 자잘구레한 일상과 세무일에 치여서 아무것도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.
책도 대구 동인동 헌책방에 자주 들러서 사 봤는데, 그 때 님의 침묵을 손에 넣게 되었다. 1980년 문학세계사라는 출판사에서 출간을 한 것인데, 초판본이다. (지금 다시 확인하니 편집인이 김종해씨다 얼래? 김종해시인인가?)
책의 제목은 <님께서 沈默하지 아니하시면>인데, 시가 세로쓰기로 되어 있고 만해선생님의 산문도 역시 세로쓰기로 쓰여있는데, 글을 읽으면 가로 쓰기가 주는 편안함과는 달리 글의 힘이 세로로 꽂히는 것 같은 느낌도 동시에 온다.
그 책의 237페이지에는 연필로 이런 글이 있다
東海3
東海의 검푸른 파도소리로
兄, 한 여름의 비가 내려요.
날 가둔 모양없는 지붕 위로
허름한 문살 사이로
비린 내음나는 바닷새 울음처럼
검게 내리는 비가
兄
메마른 논둑을 지나
자동차 다니는 신작로까지
어둠을 한치씩 한치씩
세워가요. 내리는 비가
이제는 비가 아니라 설운
가슴 덥혀주는 어둠이어요
하지만 兄, 그 어둠 속에서
설움의 내 피는
흰 빛 옷의 감추어진 설기로
시퍼런 날을 세워 일어서기로
울면서 이야기하네요.
글이 쓰인 한 귀퉁이 여백에 만해의 글이 아닌, 책을 첨으로 사본 이의 글이 적혀 있는 헌 책을 보는 내 심정은 뭐랠까.. 싸아한 보물을 발견한 기쁨이다. 수 백페이지의 글 내용보다 더 한 감동을 내게 준다.
누굴까. 동해의 한 쪽 귀퉁이에서 이 책을 읽으며 형에게 글을 쓴 이가.
뒷 페이지에 글씨의 양각이 다 드러나도록 또박또박 연필로 글을 쓴 이가......
별똥 떨어진 곳
마음에 두었다
다음날 가보려
벼르다 벼르다
인젠 다 자랐소
<문학독본>이란 책에 쓰여진 시 하나를 가슴에 품고 살아오며 그와 함께남쪽 바닷가 길에 별똥 떨어진 곳을 같이 가고 싶어한 곽재구 시인이나, 이 동해란 시를 그가 쓴 팔년 뒤에 읽고 동해의 하조대 푸른 바다를 가슴에 품은 나나 얼추 비슷한 정서로 살아내고 있구나 하는 생각.
이 책을 꺼내 보면, 97년에 책을 읽으며 딸아이에 대한 메모를 남긴 내 글도 끼여 있다.
훗날 내 딸이 엄마의 책을 물려받아, 어느 무료한 휴일 이 책을 들춰 보았을 때 엄마가 쓴 글을 읽게 되면 기분이 어떨까.
메모와 메모가 흐르는 페이지의 풍경을 보며 무얼 느낄까
지금 딸아이는 제 동생과 장난을 치며 고함을 치고 있지만..
시간은 뭘까.
참 마음이 허접해진다.
내가 가진 그 책 마지막 페이지 짙은 밤색의 빈 종이 위에는 이렇게 또 한 편의 양각된 글이 있으니.
님,
盛夏,여름이 더운거야 어디라도 같겠지만
나는 햇빛이라도 안 쪼이니 덜 덥겠지 하고
스스로 자위해본다. 불가의 살생유택을
한 손으로 써 보면서 다른 손으로는
흰 벽과 내 살갗에 붙는 모기들을
사정없이 죽인다. 찰싹 하고 경쾌한
소리가 대답한다
시간도, 사람도, 사건도....다들 인연이구나
'한 번이라도 이 글을 쓴 사람을 만날 수가 있을까'하는 속마음에서 어쩌면 이미 우린 스치듯 만나졌는지도 모를 일.
나락은 윙윙 피댓줄 사이를 지나가고 껍데기 날아간 자리에 뽀얀 쌀이 우수수 떨어진다.
전상순
얌전히 나뭇잎이 눌러진 편지 두 장과 <곽재구의 포구 기행>이란 책이 같이 왔다.
고추를 빻으러 가다가 대문 간 우체통에서 신문과 고지서와 소포를 꺼내서 오토바이 바구니에 싣고는 방앗간에 가서 고추를 빻아 주라고 던져 놓고는 소포부터 끌른다.
책이 나오고, 편지가 나온다.
아름다운 언니의 사연이 나온다. 훗~
쌀이 다 떨어져 아랫채 마루에 얹어 놓은 나락 네가마니 싣고는 방앳간에 찧으러 간다.
전화를 하면 정미소 아저씨가 차를 가지고 온다
시집 와 십수년 나락을 찧으러 가면서 그 아저씨의 차를 타고 다녔지만, 심중에 아무런 느낌이 오지 않는 아자씨의 인상에서 세상에는 남자가 있고, 그 남자를 딱 두패로 가르라면, 연애가 가능할까 아니면 동네 슈퍼 아저씨로 남을까..하는 기준이다 으흐흐흐흐
<곽재구의 포구 기행>을 챙겨서 들고 나간다.
나락 찧으러 가면서도 책 들고 나가면 혹자는 내가 억시기도 책 많이 보는 여편네인줄 알고 고개를 끄덕거릴지 모를 일이지만, 기실 책 디럽게 안 읽는다. 아이들한테는 책을 많이 읽어야 나중에 사기를 쳐도 용이하다고 뻥 때리고 살지만, 기실 나는 책을 별로 읽지 않는다.
나락을 내려 놓고 정미소의 기계 피댓줄은 스위치를 올리자 위~잉 돌아가기 시작한다. 차 안에서 쌀푸대만 발로 밀어 놓고는 책을 읽는다
책 속에 소제목 "별똥 떨어진 곳 마음에 두었네-동화와 지세포를 찾아서-"란 곳을 읽었다.
곽재구시인이 시에 마음을 두어 시가 자기에게로 걸어 온 시점에서 헌책방에서 찾아내 흔쾌히 사들였다는 <문학독본>이란 책과 같이 여행을 떠나면서 그 책의 내용과 이야기를 나누며 그 포구의 풍경과 상념을 적은 글이였는데 일테면 책 속의 저자의 글과 여행을 떠난 것이다.
곽재구 시인은 우리가 들어서 여러가지 알고 있겠지만, 나는 그이가 오월시 동인으로 활동할 때(지금도 하는지 모르겠지만) 참 열심히 동인시집이 나오면 사보고 했었다. 오월, 광주...이런 것들이 경상도 어설픈 가스나 한테 무슨 의미인지 지금은 아무 기억도 없다. 나는 기실 그 때 월 팔만오천원 월급을 받으며 자그마한 주물공장에 경리로 일하였으니.
노동이고뭐고 아무것도 몰랐다.
그저 치이는 만원버스에서 한 시간을 서서 출근해서 할아버지 사장님들의 커피를 타 주고 작은 매출전표를 기록하며 자잘구레한 일상과 세무일에 치여서 아무것도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.
책도 대구 동인동 헌책방에 자주 들러서 사 봤는데, 그 때 님의 침묵을 손에 넣게 되었다. 1980년 문학세계사라는 출판사에서 출간을 한 것인데, 초판본이다. (지금 다시 확인하니 편집인이 김종해씨다 얼래? 김종해시인인가?)
책의 제목은 <님께서 沈默하지 아니하시면>인데, 시가 세로쓰기로 되어 있고 만해선생님의 산문도 역시 세로쓰기로 쓰여있는데, 글을 읽으면 가로 쓰기가 주는 편안함과는 달리 글의 힘이 세로로 꽂히는 것 같은 느낌도 동시에 온다.
그 책의 237페이지에는 연필로 이런 글이 있다
東海3
東海의 검푸른 파도소리로
兄, 한 여름의 비가 내려요.
날 가둔 모양없는 지붕 위로
허름한 문살 사이로
비린 내음나는 바닷새 울음처럼
검게 내리는 비가
兄
메마른 논둑을 지나
자동차 다니는 신작로까지
어둠을 한치씩 한치씩
세워가요. 내리는 비가
이제는 비가 아니라 설운
가슴 덥혀주는 어둠이어요
하지만 兄, 그 어둠 속에서
설움의 내 피는
흰 빛 옷의 감추어진 설기로
시퍼런 날을 세워 일어서기로
울면서 이야기하네요.
글이 쓰인 한 귀퉁이 여백에 만해의 글이 아닌, 책을 첨으로 사본 이의 글이 적혀 있는 헌 책을 보는 내 심정은 뭐랠까.. 싸아한 보물을 발견한 기쁨이다. 수 백페이지의 글 내용보다 더 한 감동을 내게 준다.
누굴까. 동해의 한 쪽 귀퉁이에서 이 책을 읽으며 형에게 글을 쓴 이가.
뒷 페이지에 글씨의 양각이 다 드러나도록 또박또박 연필로 글을 쓴 이가......
별똥 떨어진 곳
마음에 두었다
다음날 가보려
벼르다 벼르다
인젠 다 자랐소
<문학독본>이란 책에 쓰여진 시 하나를 가슴에 품고 살아오며 그와 함께남쪽 바닷가 길에 별똥 떨어진 곳을 같이 가고 싶어한 곽재구 시인이나, 이 동해란 시를 그가 쓴 팔년 뒤에 읽고 동해의 하조대 푸른 바다를 가슴에 품은 나나 얼추 비슷한 정서로 살아내고 있구나 하는 생각.
이 책을 꺼내 보면, 97년에 책을 읽으며 딸아이에 대한 메모를 남긴 내 글도 끼여 있다.
훗날 내 딸이 엄마의 책을 물려받아, 어느 무료한 휴일 이 책을 들춰 보았을 때 엄마가 쓴 글을 읽게 되면 기분이 어떨까.
메모와 메모가 흐르는 페이지의 풍경을 보며 무얼 느낄까
지금 딸아이는 제 동생과 장난을 치며 고함을 치고 있지만..
시간은 뭘까.
참 마음이 허접해진다.
내가 가진 그 책 마지막 페이지 짙은 밤색의 빈 종이 위에는 이렇게 또 한 편의 양각된 글이 있으니.
님,
盛夏,여름이 더운거야 어디라도 같겠지만
나는 햇빛이라도 안 쪼이니 덜 덥겠지 하고
스스로 자위해본다. 불가의 살생유택을
한 손으로 써 보면서 다른 손으로는
흰 벽과 내 살갗에 붙는 모기들을
사정없이 죽인다. 찰싹 하고 경쾌한
소리가 대답한다
시간도, 사람도, 사건도....다들 인연이구나
'한 번이라도 이 글을 쓴 사람을 만날 수가 있을까'하는 속마음에서 어쩌면 이미 우린 스치듯 만나졌는지도 모를 일.
나락은 윙윙 피댓줄 사이를 지나가고 껍데기 날아간 자리에 뽀얀 쌀이 우수수 떨어진다.
전상순